요약: 갈색여치가 먹어치움.
이구역의 버러지는 나야!
사진은 며칠전 저녁에 밭을 둘러보다 찍은겁니다.
작년 제 밭이 있던 지역은 매미나방이 대발생하여 뉴스에도 나왔는데 제 밭주변에서는 매미나방은 그렇게 많지 않고 갈색여치만 잔뜩 나타났습니다.
작년에이어 올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갈색여치나 매미나방은 둘다 서식지가 활엽수림을 좋아해 서식지가 겹치기도 하고, 겨울 기온이 따뜻해지면 대량으로 월동하여 수가 늘어나는 특징도 같습니다.
그렇지만, 초식성인 매미나방 유충과 달리 갈색여치는 잡식성인데다 살아있는 먹이도 잘 사냥하는 편입니다.
갈색여치는 외골격과 강한 턱과 억센 발톱이 달린 다리로 움켜쥐고 갉아먹어 버릴 수 있기에 매미나방 유충과 성충의 유독성 털에 전혀영향을 받지 않고 포식이 가능한데다.
식성이 까다롭지 않고 먹성도 강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매미나방 유충은 그저 푸짐하고 맛있는 먹이일 뿐입니다.
물론 갈색여치는 매미나방을 먹어 치우고도 배가 고파 다른 식물들이나 곤충들을 먹어치우니 매미나방대신 갈색여치가 더 많았던 듯 합니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피부에 닿으면 알러지 생기는 매미나방보다는 갈색여치가 나은거 같기도 합니다만 어차피 해충ㅜㅜ 작년 널어놓은 옷 특히 인견(레이온)재질 옷들이 많은 피해를 었습니다. 특히 팬티 3벌이 큰 피해를 입어 입기 곤란해졌습니다.
결론: 겨울 기온이 높아 매미나방이 많이 발생했으나 역시 같은 원인으로 많이 발생한 갈색여치가 많이 먹어치워 많이 보이지 않은것.ㅜㅜ

이구역의 버러지는 나야!
사진은 며칠전 저녁에 밭을 둘러보다 찍은겁니다.
작년 제 밭이 있던 지역은 매미나방이 대발생하여 뉴스에도 나왔는데 제 밭주변에서는 매미나방은 그렇게 많지 않고 갈색여치만 잔뜩 나타났습니다.
작년에이어 올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갈색여치나 매미나방은 둘다 서식지가 활엽수림을 좋아해 서식지가 겹치기도 하고, 겨울 기온이 따뜻해지면 대량으로 월동하여 수가 늘어나는 특징도 같습니다.
그렇지만, 초식성인 매미나방 유충과 달리 갈색여치는 잡식성인데다 살아있는 먹이도 잘 사냥하는 편입니다.
갈색여치는 외골격과 강한 턱과 억센 발톱이 달린 다리로 움켜쥐고 갉아먹어 버릴 수 있기에 매미나방 유충과 성충의 유독성 털에 전혀영향을 받지 않고 포식이 가능한데다.
식성이 까다롭지 않고 먹성도 강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매미나방 유충은 그저 푸짐하고 맛있는 먹이일 뿐입니다.
물론 갈색여치는 매미나방을 먹어 치우고도 배가 고파 다른 식물들이나 곤충들을 먹어치우니 매미나방대신 갈색여치가 더 많았던 듯 합니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피부에 닿으면 알러지 생기는 매미나방보다는 갈색여치가 나은거 같기도 합니다만 어차피 해충ㅜㅜ 작년 널어놓은 옷 특히 인견(레이온)재질 옷들이 많은 피해를 었습니다. 특히 팬티 3벌이 큰 피해를 입어 입기 곤란해졌습니다.
결론: 겨울 기온이 높아 매미나방이 많이 발생했으나 역시 같은 원인으로 많이 발생한 갈색여치가 많이 먹어치워 많이 보이지 않은것.ㅜㅜ
at 2020/07/04 15:58
최근 덧글